컴구스터디3 [12주차]기억장치(3), 보조기억장치(1) Chap 06. 기억장치 03. 캐시 기억장치 - 라인크기 - 쓰기 정책 블록 크기에 따른 특성 : 블록 크기가 커질수록 캐시에 들어올 수 있는 블록의 수는 감소한다. 블록 수가 적으면 인출된 직후에 다른 블록과 다시 교체된다. 블록 크기가 커질수록 원하는 워드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워드들고 같이 읽혀 오며, 그들은 가까운 미래에 사용될 가능성은 낮다. - 계측정 캐시 -온-칩 캐시 : 캐시 액세스 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해 cpu칩 내에 포함시킨 캐시이다. -계층적 캐시 : 온-칩 캐시를 1차 캐시로 사용하고, cpu 외부에 더 큰 용량의 2차 캐시를 설치하는 방식이다. -분리적 캐시 : 캐시를 명령어 캐시와 데이터 캐시로 분리한 것이다. -계측정 캐시 히트율 : 2차 캐시의 용량이 1차 캐시의 용량보다 .. 2021. 5. 19. [11주차]기억장치(2) 03. 캐시 기억 장치 ※ 기본 개념 - 캐시의 사용 목적과 특징 : CPU와 주기억장치 사이에 존재하며 속도 차이를 줄여주어 CPU에서의 데이터와 명령어 처리 속도를 향상시키는 고속 반도체 기억장치이다. 주기억장치보다 액세스 속도가 높은 칩을 사용하지만 가격과 제한된 공간 때문에 용량이 적다. - 캐시 기억장치를 포함하고 있는 컴퓨터 시스템에서 캐시의 동작 - miss인 경우 : CPU가 명령어를 인출하기 위해 캐시 기억장치에 접근했는데 명령어가 존재하지 않아 찾지 못했을 때 ▶ 1단계 : 주기억장치에서 필요한 정보를 획득하여 캐시 기억장치에 전송 ▶ 2단계 : 캐시 기억장치는 얻어진 정보를 다시 중앙처리장치로 전송 - hit인 경우 : CPU가 명령어를 인출하기 위해 캐시 기억장치에 접근하여 그 명령.. 2021. 5. 13. [6주차]레지스터, 컴퓨터 명령어, 주소 지정 방식, 컴퓨터 시스템의 동작 ★컴퓨터 명령어 형식 ★컴퓨터 시스템의 동작과정 1. 레지스터 1) 레지스터 종류 - 프로그램 카운터 - 명령어 레지스터 - 여러가지 레지스터 매우 많이 존재. 2) 레지스터 전송 - 3가지 전송 명령 : LOAD->주기억 장치에서 레지스터로 데이터를 '읽음' STORE->레지스터에서 주기억 장치로 데이터를 '저장' MOVE(MOV)->레지스터에서 레지스터로 데이터를 '이동' -인텔 프로세서는 이 3가지 전송 명령을 MOVE(MOV)명령으로 모두 처리함 2. 컴퓨터 명령어 1) 명령어 형식 : 연산코드(opcode)와 오퍼랜드(operand, 피연산자)위치, 연산 결과의 저장 위치 등 여러 가지 정보로 구성 - 0주소 명령어 : 연산에 필요한 오퍼랜드 및 결과의 저장 장소가 묵시적으로 지정 opcode .. 2021. 4. 9. 이전 1 다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