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공부/컴퓨터구조8

[12주차]기억장치(3), 보조기억장치(1) Chap 06. 기억장치 03. 캐시 기억장치 - 라인크기 - 쓰기 정책 블록 크기에 따른 특성 : 블록 크기가 커질수록 캐시에 들어올 수 있는 블록의 수는 감소한다. 블록 수가 적으면 인출된 직후에 다른 블록과 다시 교체된다. 블록 크기가 커질수록 원하는 워드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워드들고 같이 읽혀 오며, 그들은 가까운 미래에 사용될 가능성은 낮다. - 계측정 캐시 -온-칩 캐시 : 캐시 액세스 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해 cpu칩 내에 포함시킨 캐시이다. -계층적 캐시 : 온-칩 캐시를 1차 캐시로 사용하고, cpu 외부에 더 큰 용량의 2차 캐시를 설치하는 방식이다. -분리적 캐시 : 캐시를 명령어 캐시와 데이터 캐시로 분리한 것이다. -계측정 캐시 히트율 : 2차 캐시의 용량이 1차 캐시의 용량보다 .. 2021. 5. 19.
[11주차]기억장치(2) 03. 캐시 기억 장치 ※ 기본 개념 - 캐시의 사용 목적과 특징 : CPU와 주기억장치 사이에 존재하며 속도 차이를 줄여주어 CPU에서의 데이터와 명령어 처리 속도를 향상시키는 고속 반도체 기억장치이다. 주기억장치보다 액세스 속도가 높은 칩을 사용하지만 가격과 제한된 공간 때문에 용량이 적다. - 캐시 기억장치를 포함하고 있는 컴퓨터 시스템에서 캐시의 동작 - miss인 경우 : CPU가 명령어를 인출하기 위해 캐시 기억장치에 접근했는데 명령어가 존재하지 않아 찾지 못했을 때 ▶ 1단계 : 주기억장치에서 필요한 정보를 획득하여 캐시 기억장치에 전송 ▶ 2단계 : 캐시 기억장치는 얻어진 정보를 다시 중앙처리장치로 전송 - hit인 경우 : CPU가 명령어를 인출하기 위해 캐시 기억장치에 접근하여 그 명령.. 2021. 5. 13.
[10주차]제어장치(2), 기억장치 ★ 기억 장치 분류 ★ ROM과 RAM구조 Chapter 06. 제어장치 5. 파이프라이닝에 의한 속도 향상 1) cpu 클록 주파수 - 1Hz : 1초에 1개의 사이클 수행 --> 1개의 사이클을 수행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1초 * 주기와 주파수는 반비례 관계 - 단위 접두어 : 자주 사용하는 단위 알아두기!! - 파이프라인 단계 수 'k' , 실행할 명령어들의 수 'N' 일 때, 각 파이프라인 단계가 한 클록 주기씩 걸린다고 가정하면, 파이프라인에 의한 전체 명령어 실행 시간 T는? T = k + ( N - 1 ) - 파이프라이닝의 속도 향상 결과 Sp = k x N / k + (N - 1) Chapter 06. 기억장치 01. 기억장치 시스템의 개요 1. 기억 장치의 개요 - 주기억장치 : 중앙처리장.. 2021. 5. 6.
[9주차]제어장치(2) 1. 제어장치 -> 주기억장치에서 저장된 명령을 해독하고, 해독한 명령어 지시하는 연산이 수행되도록 해당 장치에 제어신호 전달 -> 레지스터, 명령어 해독기, 프로그램 카운터를 비롯한 각종 장치 필요 ● 프로그램 카운터 : 다음에 인출될 명령어 주소 저장 (레지스터의 일종으로 취급) ● 명령 레지스터 : 현재 실행중인 명령어 저장 = 가장 최근에 인출될 명령어 -> 주기억장치에서 명령을 인출하여 기억장치 버퍼 레지스터와 명령 레지스터에 임시저장하고 명령 해독기에서 명령어를 해독 -> 마지막으로 해독된 내용들은 연산장치로 전달 2. 명령어 사이클(=데이터 경로 사이클) -> 명령어 인출, 해독, 실행 사이클로 진행 -> 인터럽트 사이클 : 명령어 사이클이 끝나고 인터럽트 유무 점검, 만약 인터럽트 있으면 .. 2021. 5. 1.